안녕하세요 강풍입니다.
최근 KT 아현지사 화재로 인해 KT인터넷을 사용하는 많은
소비자들이 피해를 입었었죠. 다행히 인명피해가 없어 그나마 천만 다행이였습니다.
제가 일하는 곳에서 그에 따른 여파가 번지면서 각 종 시설물에 대한 조사가 다방면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화재에 대한 안전사항들을 하나씩 챙기기 시작했습니다. 조사항목에 생소한
항목들도 있고 쉽게 이해 안가는 내용들이 다수 있어 인터넷을 뒤적뒤적 거렸습니다.
그 중 하나 난연재료,불연재료,준불연재료 이거는 어떻게 구분하나? 입니다.
1. 불연재료란?
- 불에 타지 아니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
시 험 명 : KS F ISO 1182(건축 재료의 불연성 시험 방법)
성능기준 : 가열시험 개시 후 20분간 가열로 내의 최고온도가 최종평형온도를 20K 초과 상승하지 않아야 하며(단, 20분 동안 평형에 도달하지 않으면 최종 1분간 평균온도를 최종평형온도로 한다), 가열종료 후 시험체의 질량 감소율이 30% 이하의 성능을 가져야 함.
종 류 : 콘크리트, 석재, 벽돌, 철강, 유리, 알루미늄, 글라스울, 회(두께 24mm 이상), 시멘트판, 섬유시멘트판, 석고시멘트판, 압출시멘트판.
2. 준불연재료란?
- 불연재료에 준하는 성질을 가진 가진 재료
시 험 명 : KS F ISO 5660-1[연소성능시험-열 방출, 연기 발생, 질량 감소율-제1부:열 방출률(콘칼로리미터법)]
성능기준 : 가열시험 개시 후 10분간 총방출열량이 8MJ/㎡ 이하이며, 10분간 최대 열방출률이 10초 이상 연속으로 200kW/㎡를 초과하지 않으며, 10분간 가열 후 시험체를 관통하는 방화상 유해한 균열, 구멍 및 용융(복합자재의 경우 심재가 전부 용융, 소멸되는 것을 포함한다) 등이 없어야 함.
종 류 : 석고보드, 목모시멘트판, 펄프시멘트판, 미네랄텍스
3. 난연재료란?
- 불에 잘 타지 아니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
시 험 명 : KS F ISO 5660-1[연소성능시험-열 방출, 연기 발생, 질량 감소율-제1부:열 방출률(콘칼로리미터법)]
성능기준 : 가열시험 개시 후 5분간 총방출열량이 8MJ/㎡ 이하이며, 5분간 최대 열방출률이 10초 이상 연속으로 200kW/㎡를 초과하지 않으며, 5분간 가열 후 시험체(복합자재인 경우 심재를 포함한다)를 관통하는 균열, 구멍 및 용융 등이 없어야 함.
종 류 : 난연합판, 난연플라스틱판
구분 |
불연재료 |
준불연재료 |
난연재료 |
정 의 |
불에 타지 아니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 (건축법 시행령 제2조) |
불연재료에 준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 (건축법 시행령 제2조) |
불에 잘 타지 아니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 (건축법 시행령 제2조)
|
해당자재 |
콘크리트, 석재, 벽돌, 철강, 유리, 알루미늄, 글라스울, 회(두께 24mm 이상), 시멘트판, 섬유시멘트판, 석고시멘트판, 압출시멘트판 |
석고보드, 목모시멘트판, 펄프시멘트판, 미네랄텍스 |
난연합판, 난연플라스틱판 |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 다자녀 혜택 파헤쳐 보자~! (0) | 2019.07.11 |
---|---|
[일반상식]종이컵 끝 부분은 왜 둥글지? (0) | 2019.01.08 |
[모르면손해]전좌석 안전벨트 착용 의무화, 알고 계셨나요? (0) | 2018.12.02 |
[울산]태화강대공원_181118 (0) | 2018.11.24 |
[남포동]JM에서 맛있는 커피와 함께.. (0) | 2018.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