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소방설비기사4

[소방설비기사/산업기사]소방원론_화재론_연소 생성물#03 1. 연소생성물 1) 연소가스 : 물체의 열분해 or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가스 - 일산화탄소 : 불완전연소 (산소가 부족할때 연소) - 이산화탄소 : 완전연소 했을때 발생 - 유독성 가스 2) 일산화탄소(CO) - 헤모글로빈과의 결합하여 산소의 공급을 방해하기 때문 - 연탄가스, 자동차 배기가스, 대형 산불, 담배 연기 에 다량 포함 - 인체의 폐에 큰 자극을 줌 - 가스자체의 독성은 없지만 인체에 산소 공급을 방해함 - 농도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 0.2% : 1시간 호흡시 생명에 위협 0.4% : 1시간 내에 사망 1% : 2-3분 내에 실신 3) 이산화탄소(CO2) - 연소가스 중 많은 부분 차지 - 화재가스에 유입된 유해가스의 흡입을 증가시켜서 위협을 가중 시켜 줌 - 농도에 따른 증상 1% : 공.. 2019. 9. 9.
[소방설비기사/산업기사]소방원론_화재론_연소의 이론#02 제 1과목 소방원론 1. 연소의 이론 1) 연소의 형태 - 고체의 연소 * 표면연소 : 숯,코크스,목탄,금속분 * 표면연소 = 응축연소 = 작열연소 = 직접연소 * 분해연소 : 석탄, 종이, 플라스틱, 목재, 고무 * 증발연소 : 황, 왁스, 파라핀(양초), 나프탈렌 * 자기연소 : 니트로글리세린, 니트로셀룰로오스,TNT,니트로화합물, 질산에테르류 - 액체의 연소 * 분해연소 : 중유, 아스팔트 * 액적연소(=분무연소) : 벙커C유 * 증발연소 : 가솔린, 등류, 경유, 알코올, 아세톤 - 기체의 연소 * 확산연소 : 기체연료가 공기중의 산소와 혼합되면서 경계면에서 연소되는 현상(메탄, 암모니아, 아세틸렌, 일산화탄소, 수소) * 예혼합기 연소 2) 연소의 문제점 - 백-파이어 : 역화 공급속도 < 연소.. 2019. 9. 4.
[소방설비기사/산업기사]소방원론_화재론_연소의 이론#01 제 1과목 소방원론 1. 연소의 이론 1) 연소의 정의 - 가연물이 공기중에 있는 산소와 반응하여 열고 빛을 동반하며 급격히 산화반응하는 현상 예) 쇠못이 녹이 슨다(산화반응) 하지만 열고 빛을 발하지 않으므로 연소하다고 하기 어렵다. 2) 연소의 색과 온도 암적휘황백휘 색 암적색(진홍색) 적색 휘적색(주황색) 황적색 백적색(백색) 휘백색 온도 700~750 850 925~950 1100 1200~1300 1500 3) 연소의 3요소 - 가연물(연료), 산소공급원(산소), 점화원(온도) ① 가연물 - 열전도율이 작을 것 - 발열량이 클 것 - 산화반응이면서 발열반응 할 것 - 활성화 에너지가 작을 것 - 산소와 친화력이 클 것 - 표면적이 넓을 것 - 연쇄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것 - 수분이 적을 것 .. 2019. 8. 25.
[자격증]소방설비(전기) 기사/산업기사 공부#01 매년 하나의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꾸준히 노력하려고 하는 강풍입니다. 올해는 리눅스마스터 자격증을 취득에 성공했지만 그렇다고 안주해서는 안되지 않겠습니까? 20년에는 소방설비 자격증을 하나 준비하려고 하는데요. 제가 전공자도 아니고 해서 지금부터 천천히 준비해서 내년 상반기에는 취득할 수 있도록 열심히 노력해 보겠습니다. 매일 공부하고 학습하는 부분을 글로 남기고 메모하고 어디서든 책이 없더라도 복습을 할 수 있도록 포스팅할 예정이며 관련 자격증을 준비하시는 모든 분들도 합격하는 그 날까지 파이팅입니다~~ 오늘 1강 아직 책의 첫 페이지도 펴지 않았지만 간단하게 과목과 과목별 내용을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시험 합격 점수도 같이 보도록 하죠 시험 횟수 1년에 3회(1회, 2회, 4회) 시험 과목 .. 2019. 8.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