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소방원론3

[소방설비기사/산업기사]소방원론_화재론_연소 생성물#03 1. 연소생성물 1) 연소가스 : 물체의 열분해 or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가스 - 일산화탄소 : 불완전연소 (산소가 부족할때 연소) - 이산화탄소 : 완전연소 했을때 발생 - 유독성 가스 2) 일산화탄소(CO) - 헤모글로빈과의 결합하여 산소의 공급을 방해하기 때문 - 연탄가스, 자동차 배기가스, 대형 산불, 담배 연기 에 다량 포함 - 인체의 폐에 큰 자극을 줌 - 가스자체의 독성은 없지만 인체에 산소 공급을 방해함 - 농도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 0.2% : 1시간 호흡시 생명에 위협 0.4% : 1시간 내에 사망 1% : 2-3분 내에 실신 3) 이산화탄소(CO2) - 연소가스 중 많은 부분 차지 - 화재가스에 유입된 유해가스의 흡입을 증가시켜서 위협을 가중 시켜 줌 - 농도에 따른 증상 1% : 공.. 2019. 9. 9.
[소방설비기사/산업기사]소방원론_화재론_연소의 이론#02 제 1과목 소방원론 1. 연소의 이론 1) 연소의 형태 - 고체의 연소 * 표면연소 : 숯,코크스,목탄,금속분 * 표면연소 = 응축연소 = 작열연소 = 직접연소 * 분해연소 : 석탄, 종이, 플라스틱, 목재, 고무 * 증발연소 : 황, 왁스, 파라핀(양초), 나프탈렌 * 자기연소 : 니트로글리세린, 니트로셀룰로오스,TNT,니트로화합물, 질산에테르류 - 액체의 연소 * 분해연소 : 중유, 아스팔트 * 액적연소(=분무연소) : 벙커C유 * 증발연소 : 가솔린, 등류, 경유, 알코올, 아세톤 - 기체의 연소 * 확산연소 : 기체연료가 공기중의 산소와 혼합되면서 경계면에서 연소되는 현상(메탄, 암모니아, 아세틸렌, 일산화탄소, 수소) * 예혼합기 연소 2) 연소의 문제점 - 백-파이어 : 역화 공급속도 < 연소.. 2019. 9. 4.
[소방설비기사/산업기사]소방원론_화재론_연소의 이론#01 제 1과목 소방원론 1. 연소의 이론 1) 연소의 정의 - 가연물이 공기중에 있는 산소와 반응하여 열고 빛을 동반하며 급격히 산화반응하는 현상 예) 쇠못이 녹이 슨다(산화반응) 하지만 열고 빛을 발하지 않으므로 연소하다고 하기 어렵다. 2) 연소의 색과 온도 암적휘황백휘 색 암적색(진홍색) 적색 휘적색(주황색) 황적색 백적색(백색) 휘백색 온도 700~750 850 925~950 1100 1200~1300 1500 3) 연소의 3요소 - 가연물(연료), 산소공급원(산소), 점화원(온도) ① 가연물 - 열전도율이 작을 것 - 발열량이 클 것 - 산화반응이면서 발열반응 할 것 - 활성화 에너지가 작을 것 - 산소와 친화력이 클 것 - 표면적이 넓을 것 - 연쇄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것 - 수분이 적을 것 .. 2019. 8.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