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책을 읽는 것과 함께 읽고 난 후 나름의 내용정리와 함께 느낀 점도 같이 기록해 보고자 한다. 물론 나중에서야 내용도 찾아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당시 시대적 흐름이나 시점에 맞는 대응전략 등을 남기다 보면 내가 앞으로 처해지는 미래에 대해서도 준비가 가능하지 않을까 해서이다. 23년에 이미 읽은 경제도서들도 있지만 지금부터라도 시간을 들여 조금씩 정리해 가는 습관을 들이도록 하자. 23년이 마무리되는 시점에 과연 몇 권의 도서를 읽었는지도 내 스스로가 궁금하다.
#1 인플레이션 시대
코로나로 인해 미국의 GDP성장이 마이너스로 전환되고 국가가 이를 타개하기 위한 막대한 재정정책을 내놓는다
- 첫째, 4차례에 걸친 3조 6000억 달러의 경기 부양책
- 둘째, 연준의 긴급통화 정책으로 1.5%~1.75% 였던 금리 목표를 0%~0.25% 로 인하, 양적완화
- 셋째, 국제유가 상승
- 넷째, 중국의 봉쇄로 인한 상품의 공급의 중단
#2 인플레이션과 자산가격
2000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소비자 물가는 월평균 2.25% 상승하고 금 가격은 월평균 9.9% 상승했다.
#3 고금리 시대
중앙은행이 금리를 결정할 때 참고하는 지표 중 '테일러 준칙'이다
이는 실제인플레이션율과 실제경제성장률이 각각 인플레이션 목표치와 잠재성장률을 벗어날 경우 은행이 정책금리를 변동한다는 이론으로 실제인플레이션율 > 인플레이션 목표치, 실제성장률 > 잠재성장률 이면 금리 인상이고 반대의 경우는 금리를 내린다.
금리는 결정하는 세 가지 요인 중
첫째, 가장 중요한 것은 경제 성장률
둘째, 저축률과 투자율의 차이이다. 국민경제를 전체적으로 보면 저축은 자금의 공급이고 투자는 자금의 수요이다. 저축률이 투자율보다 높다면 시장금리는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려고 할 것이다.
셋째, 은행의 채권매수는 금리 하락의 요인이 된다.
#4 장단기 금리차이로 알아보는 미래경제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대표적인 경기선행 지수이다. 장단기 금리 차이는 이 지수보다 약 5개월 정도 선행하고 상관계수도 0.66으로 비교적 높다. 금리차가 확대되면 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5개월 뒤에 상승하고 경기도 좋아진다는 의미이다. 반대로 22년 7~8월 사이 금리차가 급격하게 축소되면 약 5개월 후 인 23년 1,2분기 선행지수가 떨어지고 주가도 하락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아래 그림)
장단기 금리 차이를 이용해 미래의 경제성장률도 예상가능하다. 대략 3분기 정도 선행하며 상관계수도 0.65로 상당히 높다. 22년 2분기의 1.17%에서 3분기 0.32%로 급격하게 축소되었다. 이는 23년 2분기 전후에 경제성장률이 급격하게 낮아질 것을 예고하고 있다. (아래 그림)
#5 코스피 언제 사야 할까
첫째, 코스피지수와 명목GDP의 관계
둘째, 코스피와 일평균 수출금액, 상관지수가 0.86으로 상당히 높다
셋째, 코스피 시총/ M2 통화량 -> 위기 경제 상황에서 바닥권을 가늠하지 않을까 싶다.
-> 3가지 항목을 계산하거나 데이터 추출하는 방법을 찾아볼 것
매트로 지표들이라고 해서 무조건적으로 일치하는 것은 없다지만 경제학자들이 참고하는 지표이므로 경제위기나 하락 반전 시 매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
#6 명목GDP 실질GDP
예를 들어 이해를 돕자. 자동차 회사가 작년에 100원짜리 자동차를 100대 생산했다고 가정하자, 올해 이 회사가 가격에 변함이 없는 100원짜리 자동차를 105대 생산했다면 작년의 1만원에서 올해는 1만5백으로으로 5%증가 했고 경제가 5% 성장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이 실질GDP의 개념이다. 그러나 명목GDP는 가격 변화까지 고려해야 한다. 예로 자동차 가격이 5%인상되고 생산량도 5% 늘었다면 실질GDP는 10% 성장한 것으로 본다.
#7 선행지수 순환변동치와 주가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현재의 경기를 나태낸 지표이며 선행지수 순환병동치는 아픙로 경기가 어떻게 될 것인지를 나타낸다.
-> 선행지수 순환변동치와 코스피의 상관관계가 상당히 높다.
'재테크 > 책을 읽는 습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계발]#2 보도 섀퍼의 이기는 습관-4 (0) | 2023.05.12 |
---|---|
[자기계발]#2 보도 섀퍼의 이기는 습관-3 (0) | 2023.05.12 |
[자기계발]#2 보도 섀퍼의 이기는 습관-2 (0) | 2023.05.09 |
[자기계발] 보도새퍼의 이기는 습관 中 24개의 황금률 (0) | 2023.05.09 |
[자기계발]#2 보도 섀퍼의 이기는 습관-1 (0) | 2023.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