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히 숙소 앞에서 제주의 역사가 뭍어 있는 곳을 발견했다.
구엄리 돌염전이라는 곳인데 옛날 방식의 염전으로 소금을 생산하는 곳이다.
현재는 기능을 상실하여 소금을 생산하지는 않지만 관광객들을 위해 예전의 모습으로 복원을 한 모습이다.
제주도를 여러 번 여행 왔지만 이런 곳이 있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됐다.
맛집이나 돌아다녔지 이런 명소가 있는지 전혀 몰랐다.
# 구엄리 돌염전
안내표지판에 앞에서 서서 천천히 돌염전에 관한 역사와 유래를 자세하게 읽어 내려갔다.
아침에 일어나 산책길을 나온 터라 나중에 아이들과 함께 돌염전에 대해서 알려줘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돌염전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해보자.
구엄리에서 시작하여 고내리까지 ‘엄장해안길’이라는 ‘해안누리길’이 조성돼 있다.
구엄리의 포구를 지나면 만나는 구엄리 돌염전은 넓게 드러누운 현무암 위에 소금을 생산하던 곳이다.
'소금빌레'라고도 일컬어지는 구엄리의 돌염전은 구엄리 주민들이 소금을 생산하던 천연 암반 지대였다.
빌레란 제주어로 '너럭바위'를 뜻하니 소금빌레란 소금밭, 즉 돌염전이란 뜻을 담고 있다.
조선 명종 14년인 1559년 강려 목사(제주를 관할 구역으로 하는 문관)가 부임하면서
구엄리 주민들에게 소금을 생산하는 방법을 가르쳤다.
바위 위에 찰흙으로 둑을 쌓고 그곳에 고인 바닷물이 햇볕에 마르면서 생기는 소금을 얻어내는 방식으로
구엄마을 주민들의 주요 생업의 터전이 되었다.
소금밭은 약 390여 년 동안 마을 주민들의 생업의 터전이자 삶의 근간이 되어왔다.
품질이 뛰어난 천일염이 생산되다가 해방 이후 폐기되어 지금은 소금 생산을 하지 않고 있지만
2009년에 제주시가 예산을 투입하여 돌염전을 일부 복원하고 관광안내센터와 주차장 등을 설치하였다.
돌염전의 유래, 소금의 생산 방법 등 다양한 정보가 있는 안내판들이 곳곳에 설치되어 있어
여행자들에게 생소한 소금 생산 방식과 돌염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출처. 제주관광정보센터)
# 해안누리길
숙소 앞에서 부터 약 4.8km 정도 길이의 해안누리길이 있어 아침에 산책을 나서기에 좋다.
날씨까지 좋다면 금상첨화이다.
이곳 해안누리길이 제주에서 일몰 명소로 유명하다고 하니
빡빡한 코스 일정보다는 숙소에 일찍 오셔서 저물어가는 태양과 황금빛 노을 감상하시라.
해안길 따라 길가에는 예쁜 수국들도 만나 볼 수 있어 기분이 좋아진다.
제주에서는 음식이 주는 기쁨도 있지만 자연이 주는 기쁨 또한 있으니
여유를 가지고 아름다움을 마음껏 누리도록 하자.
'Life >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여행] 아쿠아플라넷_제주 호기심 가득한 여기 (0) | 2023.09.02 |
---|---|
[제주여행] 테마파크 제주센트럴파크 (0) | 2023.08.22 |
[제주여행] 아이들의 체험 놀이터_아침미소목장 (0) | 2023.08.09 |
[제주맛집] 이순신김밥 애월에 가면 먹어봐야지.. (0) | 2023.08.07 |
[제주여행] 제주도 수국 명소 6월에는 마노르블랑 (0) | 2023.07.30 |